전세 계약시 주의사항!!
by Jpapa story
안녕하세요! 심바입니다.!
전세 계약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려드릴 건데요!
저도.. 이번에 집을 전세로 구할려고 알아보던 중.. 아무래도 큰돈이 오가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;;
그래서 전세 계약시 무엇을 체크해야 할지? 또는 주의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해요^^
1. 분양자와 아파트의 소유주(임대인) 동일 인물인지 확인합니다.
- 부동산등기부등본을 확인하여 계약전과 계약 시 발급 또는 열람을 합니다. 실소유주 확인과 대출금액, 가압류 등을 확인합니다.!
아래 링크를 타고 가시면 등기부등본 확인이 가능합니다.
↓
(인터넷 등기소)
2. 계약서 작성 시 특약사항을 작성합니다.
- 계약서 내 특약사항은 최대한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집 상태와 하자보수 관련 내용 또는 향후 보수 관련에 대하여 최대한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으며 살기 전 훼손된 벽지나 오염이 있다면 미리 사진을 촬영하여 집주인과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.!
3. 입주와 동시에 전입신고와 확정일을 받습니다.★★★★★
- 전세계약 시 가장 중요한 항목인데요.! 전세로 들어가게 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"전입신고와 확정일자"를 받는 것입니다. 그렇게 되면 추후 경매에 넘어간다고 해도 권리 순위에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생기기 때문입니다.
여기서 전입신고 = 대항력 취득, 확정일자 = 우선변제권 취득할 수 있습니다.
※ 대항력?
- 제 3자에게도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. 대항력이 있는 임차인은 새로운 소유주에게 보증금을 받기 전까지 합법적으로 집을 비워주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.
※ 우선변제권?
- 전세로 들어간 주택에 대해 경매 또는 공매가 발생할 경우 다른 채권자들보다 먼저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.
- 이사한 날을 포함하여 14일 이내에 전입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벌금을 부과되며 관할 내 주민센터나 민원24를 통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.!
↓
- 확정일은 보통 전입신고 시 확정일자도 함께 받으면 되는데 만약 대출 시 확정일자가 필요하다면 계약서를 가지고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!
4. 전세계약금을 입금할 때는 아파트 소유자(임대인)로 입금합니다.
- 입금은 집주인에게 하는 데 할 시 증거를 남기기 위해 되도록이면 인터넷뱅킹으로 입금하고 영수증을 꼭 남겨둡니다.
5. 전세대출 여부 확인
- 임대인의 동의 없이 대출은 절대 불가한 일이기 때문에 사전에 동의를 구하며 특약사항에 꼭 넣으시길 바랍니다.!
6. 전세계약 시 대리인일 경우
- 부동산 대리 계약시 대리권에 관련 서류를 받고 확인하셔야 하며 서류는 인감증명서와 위임장을 확인합니다. 그리고 꼭 소유자와 전화를 통해 확인하셔야 합니다.
전세계약 시 주의사항에 알아봤는데요! 저도 알아보면서 이것 저것 공부가 많이 됬네요! 부디 실 계약시 실수하지 않길~^^
그럼 전 이만~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운대 엘시티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주민 불안 (0) | 2020.01.07 |
---|---|
12월 16일 부동산 대책 (0) | 2019.12.24 |
아파트 분양 당첨 후 어떻게 해야할까? (0) | 2019.12.04 |
집 전세 계약하는 방법! (0) | 2019.06.03 |
주택청약에 대해 알아보기! (0) | 2019.04.17 |
신혼부부 :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(0) | 2019.03.12 |
블로그의 정보
YeJun papa story
Jpapa story